어두운 생태학
미래 공존의 논리를 위하여
Dark Ecology :
For a Logic of Future Coexistence
티머시 모턴 지음
안호성 옮김
“어두운 생태학”은 생태적 위기의 논리적 토대를 탐구하면서 우리를 급진적 자기-인식이라는 기이한 위치에 둔다.
모턴은 생물권에서 우리가 점하는 자리와 우리의 소속성을 조명하는 가운데 비인간 존재자들과 우리의 유대를 다시 확립할 것을, 그리고 우리가 가로지르고 있는 어둡고 낯선 고리를 밝게 비추어 줄 놀이와 즐거움을 재발견할 것을 희망한다.
간략한 소개
어두운 생태학은 생태적 알아차림이다. 그것은 어두운 우울함이며, 어두운 기이함이고, 어두운 달콤함이다. 오늘날 차트에서 언제나 1위를 차지하는 것은 허무주의이기에 우리는 통상적으로 첫 번째 어둠인 우울을 통과하지 못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생태적 알아차림은, 우리를 둘러싸고 침투하는 수많은 존재자와 우리의 불가분한 공존과 관련된 비극적 멜랑콜리 및 부정성이라는 특징을 띤다. 그러나 이 책은 두 번째 어둠인 기이한 것을 거쳐 세 번째 어둠인 달콤한 것에, 어떤 역설적으로 아나키적이고 희극적인 공존의 감각에 도달하고자 한다.
모턴은 신석기 이래로 아무런 의문 없이 실행되어온 ‘농업로지스틱스’에서 생태위기의 원인을 찾는다. 농업로지스틱스는 처음부터 인간과 다른 생명체에게 유독했지만, 인간종은 알고리즘의 실행을 멈추지 않았고 오늘의 행성적 위기에 이르게 되었다. 긴급한 생태위기 속에서 우리는, 우리의 생물학적이고 화학적인 환경과 우리를 관계 맺게 하는 다종다양한 사물들, 우리의 인간 자아와 비인간 반려와 이웃 사이의 관계 네트워크들, 그것들 사이의 유대, 그것들을 갈라놓는 갈등들을 다시 깊이 숙고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했다. 생태적 알아차림은 우리에게 다수의 규모들, 즉 현재, 생명, 인간, 자연, 사물, 사고, 논리 같은 규범적 개념을 어지럽히는 규모들에서 생각하고 느끼도록 강제한다. 『어두운 생태학』은 끔찍한 사회적, 정치적, 철학적, 문화적 조건에서 탈출하기 위한 환희의 여정이다.
『어두운 생태학』은 티머시 모턴이 2014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에서 진행한 웰렉 강의를 엮은 책이다.
추천사
생태적 사고가 무엇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급진적 비전. ― 로스앤젤레스 리뷰 오브 북스
모턴의 도발적인 책은 독자에게 그 고리 논리를 엮고, 비틀고, 그것으로 실뜨기 놀이를 해 보라 촉구한다. ― 크리티컬 인콰이어리
모턴은 특유의 자유로운 스타일로 독자들의 주의를 사로잡는다 … 『어두운 생태학』은 그의 이전 작업을 확장해 생태학과 인류의 미래에 대한 획기적으로 다른 비전을 제시한다. ― 퍼블리셔스 위클리
때로는 매료하고, 때로는 신비롭게 하며, 때로는 감동을 주고, 때로는 혼란스럽게 하며, 때로는 신나게 하는 책 … 인류세, 그리고 인간 사회와 생물학적 삶의 골치 아픈 관계에 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어휘를 찾는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영국 문학과 과학 학회
지은이
티머시 모턴 Timothy Morton, 1968~
철학자, 영문학자, 생태이론가. 옥스퍼드 대학 마들린 칼리지에서 영국 낭만주의 시인 퍼시 비시 셸리의 시에 나타난 음식과 섭생, 소비의 문제를 다룬 논문 “Re-Imagining the Body : Shelley and the Languages of Diet”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미국 라이스 대학 영문학과의 리타 시 거피(Rita Shea Guffey Chair)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레이엄 하먼, 레비 브라이언트, 이언 보고스트와 함께 사변적 실재론의 ‘객체지향 존재론’(OOO) 갈래에 속하며, 주로 객체지향 존재론이 생태학적으로 함의하는 바를 탐구한다. 2013년에 출간한 『실재론적 마술 : 객체, 존재론, 인과성』은 모턴의 대표적인 객체지향 존재론 저서로, 특히 객체-객체 관계의 인과적 차원에 초첨을 맞춘다. 2018년 작 『어두운 생태학 : 미래 공존의 논리를 위하여』에서는 객체지향 존재론의 생태학적 함의를 탐구하며, 자신의 독자적인 “어두운 생태학”을 전개한다. 2021년에는 도미닉 보이어와 함께 새로운 주체성을 탐구하는 『저주체 : 인간되기에 관하여』를 썼다. 그 밖의 저서로 『생태적 삶 : 티머시 모튼의 생태철학 특강』, 『인류 : 비인간적 존재들과의 연대』, 『하이퍼객체 : 세계의 끝 이후의 철학과 생태학』, Ecology without Nature, The Ecological Thought 등이 있다.
옮긴이
안호성 Ahn Ho Sung, 1995~
와세다대학교에서 서양 철학을 전공하고 클레어몬트신학대학원을 중퇴하였다. 사변적 실재론에 관심이 많으며, 옮긴 책으로는 『사물들의 우주』, 『탈인지』, 『실재론적 마술』, 『저주체』, 『어두운 생태학』이 있다.
책 속에서
생태적 알아차림은 서술자가 자신이 비극적 범인임을 알아내게 되는 순간입니다. ― 첫 번째 실, 27쪽
인류세는 ‘자연’(Nature)을 파괴하지 않았습니다. 인류세가 ‘자연’, 그 유독한 악몽 형태에서의 ‘자연’입니다. ‘자연’은 재앙으로 출현하기를 기다리고 있는 인류세의 잠재적 형태입니다. ― 첫 번째 실, 110쪽
빗방울 현상과 빗방울 사물 사이에는 근본적이고 비환원적인 간극이 존재합니다. 더군다나 나는 경험적 공간, 심지어는 과학적 공간에서도 이 떠도는 간극의 소재지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철학자들이 사물의 어딘가에 점선과 같은 것이 있고 자신들의 일은 그 점선의 소재를 찾아 잘라내는 것이라고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유감스럽게도 빗방울은 작은 점선 및 작은 가위 그림과 함께 “여기를 자르시오”라고 보여주며 다가오지 않습니다. ― 두 번째 실, 167쪽
우리는 근대의 역사를 심리적·사회적·철학적 공간의 내부에서 비인간 존재자들이 발견됨과 동시에 차단된 역사로 읽을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실, 170쪽
사물들은 고유성을 방출합니다. 사물들은 특정성으로 곤두서 있습니다. 보라색, 옅은 보라색, 연한 파란색, 부드럽고 날카로운 가시와 꽃-가시가 나와 나의 주체-객체 절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곤두섭니다. 사물과 그 나타남 사이의 이 깜빡임이야말로 공존이 전체론적일 수 없는 이유입니다. 무언가가 언제나 행방불명입니다. 나의 자기-알아차림은 불완전성의 감각입니다. ― 두 번째 실, 190쪽
우리에게는 다양한 정치 체계의 다수성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정치 체계들을 장난감 같은 것, 인간과 비인간을 서로에게 연결하는 놀이챙긴, 반쯤 부서진 사물들로 생각해야 합니다. ― 세 번째 실, 203쪽
만약 정치 형태들과 경제 구조들이 장난감이라면, 억압적인 정치 형태들과 경제 구조들도 장난감입니다. 신자유주의는 장난감입니다. 어쩌면 문제는, 많은 냉소적 논객들이 돈 받으며 지적하고 싶어 하는 것처럼 신자유주의를 해체하기가 너무 어렵다는 것이 아니라 해체하기가 너무 쉬워서 우리가 놓치고 있다는 것일지 모릅니다. ― 세 번째 실, 204쪽
행복한 허무주의에서 어두운 허무주의로 갑시다. 처음에 어두운 허무주의는 우울합니다. 그다음에 어두운 허무주의는 신비스럽게 어둡습니다. 그다음에 어두운 허무주의는 초콜릿처럼 어둡고 달콤합니다. 여러분은 우울증 내부에서 달콤함을 찾습니다. 우울증과 싸우지 맙시다. 터널을 뚫어 내려갈 길을 찾읍시다. 사물이 전적으로 스스로 반짝이는 방식을 볼 수 있는 길을 찾읍시다. 사물들이 의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놀이하는 방식을 찾읍시다. 나르시시즘적인 히피 토크로 악마화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우리 중 점점 더 많은 이가 개인적 여정과 정치적 여정이 같은 형태를 띤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 세 번째 실, 209쪽
장난감 만들기는, 오늘날 지배적인 예술, 인문학, 공학 사이의 상호 의심보다는 오히려 그것들 사이의 의미 있는 협력을 포함할 것입니다. 인문학자들은 냉소주의에 발목이 잡히고 기술자들은 대기업과 맺는 연구 계약에 발목이 잡힙니다. 그러나 우리는 모두 장난감을 만듭니다 ― 우리의 머릿속에서, 종이 위에, 나무와 플라스틱으로, 우리는 장난감 세계들, 프로토타입들, 우리가 생각하기 위해 활용할 형식들을 만듭니다. 인문학자가 기술자와 함께 작업하여 먼 미래의 장난감, 즉 현재의 기업적 필요의 시간성에 얽매이지 않는 장난감에 대한 기획과 모델을 제작한다면 어떨까요? ― 세 번째 실, 252~253쪽
고양이가 여러분을 깨물 때, 고양이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 이것은 무는 것이자 무는 것이 아닙니다. 고양이는 자신과 모순을 이루고 있지만, 그럼에도 진실을 말하고 있습니다. 비인간은 놀이하는 법을 압니다. 사물은 사물로 있기 위해 놀이합니다. ― 세 번째 실, 253쪽
어두운 생태학은 우리가 절망적으로 그물망에 얽혀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어두운 생태학은 그 자신이 모든 생명체에 대해 온전히 책임이 있음을 발견한다 : 누아르 영화의 형사처럼, 어두운 생태학은 자신이 범죄에 연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 부록, 324쪽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9
끝난 이후에 시작하기 14
첫 번째 실 17
두 번째 실 113
세 번째 실 199
시작 전에 끝내기 281
감사의 말 287
부록 : 생태학을 생각하기 ― 그물망, 낯설게 낯선 자, 아름다운 영혼 291
옮긴이 후기 326
후주 343
찾아보기 389
출처
'번역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의 개념』 |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지음 | 안호성 옮김 | 2025.02.28 (0) | 2025.03.02 |
---|---|
『저주체』 | 티머시 모턴·도미닉 보이어 지음 | 안호성 옮김 | 2024.6.20 (0) | 2024.06.22 |
『사변적 은혜』 | 티머시 모턴 지음 | 안호성 옮김 | 2024.05.29 (0) | 2024.05.28 |
『실재론적 마술』 | 티머시 모턴 지음 | 안호성 옮김 | 2023.04.28 (0) | 2024.04.07 |
『탈인지』 | 스티븐 샤비로 지음 | 안호성 옮김 | 2022.10.12 (0) | 2024.04.07 |